-
컴퓨터 자동 종료 예약종료 설정과 해제 PC 끄는 방법카테고리 없음 2024. 11. 13. 11:44
컴퓨터의 자동 종료 PC 끄는 기능은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V에 연결한 노트북으로 영화를 시청하다 잠이 들었을 때, 밤새도록 컴퓨터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컴퓨터를 정해진 시간 후에 자동으로 종료하도록 설정하면,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컴퓨터 부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Windows 10은 이러한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하여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통해 컴퓨터는 완전히 전원이 꺼지므로, 대기 모드나 절전 모드와 달리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명령 프롬프트 사용
가장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명령 프롬프트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시간이 정해진 작업 후 자리를 비워야 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실행’ 앱을 검색해서 실행시켜주거나 Windows 키 + R을 눌러 프로그램을 열고, shutdown -s -t 초 단위 시간을 입력한 후 Enter를 누릅니다.
예를 들어, 10분 후에 시스템을 종료하고자 할 경우 shutdown -s -t 600을 입력하면 됩니다. 그런데 저는 처음에 ‘shutdown-s-t 600’처럼 ‘–s-t’를 띄어쓰지 않았더니 실행이 안되더라고요. 왜 안될까 고민을 하다가 자세히 보니 띄어쓰기를 안해 오류가 났다는 걸 알게되었습니다. 위의 이미지처럼 정확하게 shutdown –s –t 600처럼 각각의 명령어를 꼭 띄어서 적어주세요.
그러면 이제 명령어에 입력한 대로 10분 후에 윈도우가 종료된다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이미 설정된 자동종료를 취소하고 싶다면, 다시 Run 창을 열고 shutdown -a 명령어를 입력해주세요. 명령어로 예약했던 모든 종료 작업을 즉시 중단시킵니다.
바탕 화면 바로가기 생성
또 다른 PC 끄는 방법, 컴퓨터 자동종료 방법은
매번 명령어를 입력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겠죠? 매일 밤 정해진 시간에 컴퓨터를 자동으로 종료하고자 한다면, 바탕 화면에 바로가기를 생성하는 방법이 유용합니다.
바탕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새로 만들기'에서 '바로가기'를 선택합니다.
이후 shutdown -s –t 600처럼 초 단위의 시간 명령어를 입력하고, 바로가기의 이름을 지정한 후 완료합니다.
내가 설정한 제목으로 된 컴퓨터 자동종료 바로가기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성한 자동종료 아이콘을 바꾸고 싶다면 해당 아이콘을 우클릭 한 다음 속성을 클릭합니다.
속성 창에서 아이콘 변경을 선택해주시고, 기본으로 제공하는 아이콘 중 마음에 드는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저는 전원 모양으로 선택하겠습니다.
변경후 ‘확인’을 누르면 바탕화면에 생성된 자동종료 아이콘을 보실 수 있습니다.
명령어와 마찬가지로 생성된 바로가기를 더블 클릭하면, 지정된 시간 후에 컴퓨터가 자동으로 종료됩니다. 자동 종료 해제를 원하신다면 똑같은 방식으로 shutdown -a 명령어로 생성한 바로가기 만들어 사용하시면 됩니다.
작업 스케줄러 사용
보다 세밀한 설정이 필요하거나 정해진 시간에 자동으로 컴퓨터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 스케줄러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시작 메뉴에서 '작업 스케줄러'를 검색하여 실행해주세요.
'기본 작업 만들기'를 클릭하세요,
작업의 이름을 적어주세요. 저는 ‘종료’라고 입력하고 다음으로 넘어가겠습니다.
‘매일’부터 ‘특정이벤트가 기록될 때’까지 실행 옵션을 선택해주세요. 다음으로 시작할 날짜와 시간을 정해주시면 됩니다.
'프로그램 시작'을 선택해주세요.
이제 프로그램/스크립트 항목에 C:\Windows\System32\shutdown.exe를 입력하고, ‘인수 추가’ 항목에 –s를 추가합니다.
이러면 지정된 시간에 컴퓨터가 자동으로 종료됩니다.
설정된 자동종료 작업을 확인하거나 비활성화하고 싶다면
작업 스케줄러 라이브러리에서 예약된 작업 목록을 확인하고, 해당 작업을 비활성화하거나 삭제해주시면 됩니다.
오늘은 컴퓨터 자동 종료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컴퓨터 사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명령 프롬프트나 바탕 화면 바로가기, 작업 스케줄러 등 사용자의 필요와 상황에 맞게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